KOR expand_more

AKR20250617078300001_02_i_P4.jpg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

[사진 =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실 제공]



출처 : 연합뉴스 2025/6/17



(서울=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내 있는 B-1 벙커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권고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1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020년과 2022, 2024년 각각 군이 B-1 벙커 내 일부 지역에서 측정한 라돈 수치를 공개했다.

연도별 평균치는 2020449.5베크렐(Bq/), 2022357Bq/, 2024157.8Bq/, 모두 기준치인 148Bq/를 상회했다.

이중 2020년 일부 지역의 측정 최고치는 711Bq/, 2022년은 465Bq/, 2022년은 706Bq/에 달했다.

 

B-1 벙커는 암반과 지하수에서 고농도 라돈이 지속해 발생하는데, 내부는 협소하고 외부 공기 유입과 자연 환기가 어려운 구조로 알려져 있다.

국방부 시설국도 이 문제를 인지해 지난 10여년간 1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지만, 유의미한 수치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다는게 유 의원의 주장이다.

유 의원은 "B-1 벙커는 전시 대통령이 지휘하는 국가 전략지휘 핵심 시설이자 매년 한미 연합연습이 열리는 공간"이라며 "국방부는 주한미군 측에 비정상적인 라돈 수치에 대해 통보조차 하지 않았다.

한미동맹 수준을 훼손할 수 있는 행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더욱 놀라운 점은 지난해 10월 창설된 전략사령부 일부 참모부 요원 약 40명이 B-1 벙커에 상주 근무했다는 사실"이라며 "국방부는 전략사 지휘부에 라돈 수치 초과 사실을 공식적으로 알리지 않았고

전략사는 공조기를 약 30% 수준으로만 가동한 상태에서 장병들을 3개월가량 고농도 라돈에 노출시켰다"고 비판했다.

 

유 의원은 "오는 8월 후반기 한미연합연습 때 1천명 넘는 장병들이 B-1 벙커에 투입된다""B-1 벙커 전 지역의 라돈 수치를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 수립에 즉각 착수해달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구조적이고 태생적인 문제로 라돈 수치를 낮출 수 없다면 벙커의 지속 사용 여부를 즉시 전면 검토하고 제2 지휘시설 마련을 포함한 대체 방안 수립에 착수해달라"고 덧붙였다.





AKR20250617078300001_01_i_P4.jpg





기사링크 https://www.yna.co.kr/view/AKR20250617078300001?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