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expand_more

Q 해외에서 메모리폼 베개를 수입해오려고 하는데. 1) 국내에 국제 라돈 측정 시험서 같은 것이 있을까요? 2) Oeko-Tex standard 100 인증을 받은 메모리폼 베개면,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주)베터라이프입니다.


Oeko-Tex standard 100제품 문의는 2018년 대진침대때도 일부 문의가 있던 제품입니다.
오에코텍스는 친환경패션인증입니다.
이 인증을 부착한 제품들은 친환경적으로 만들어진 제품이고, 인체에 해롭지 않은지를 감시하고 시험하는 기구의 트레이드 마크입니다.
시험기준에 라돈이 있는지는 모르지만, 라돈이 나왔다고는 신고 받지 못했습니다.
그 당시 워낙 상담이 많아 각종 인증 받은 제품들 문의한 것들을 다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좀 특이해서 찾아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라돈방출에 대한 제품 실험 기준은 건축물 자재실험 기준이 이제 잡히고 있는 중이고 제품 표면에서 방출되는 라돈에 대한 기준은 아직 없습니다.
환경부의 실내공기질관리법 기준 중 공정시험기준인 ES 02901.1c(실내공기 중 라돈 연속측정법)에 따라 실내공기질 평가 기준으로 발급하는 것뿐입니다.
대부분 침대회사들이 라돈을 측정하고 시험성적서를 발표하는 것은 이러한 기준으로 실험해서 라돈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는 것입니다.


국내 기준은 2019년부터 음이온이 방출되는 광물(알파선방출) 원료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기에 최근 업체들은 천연재료라도 자체 알파선 테스트 등을 하면서 물질 검사해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베터라이프에서도 동일기준에 대한 국제규격인 코라스(KOLAS) 인증을 보유하고 있어 실험 가능하며, 표면 방출에 대한 것도 간단히 확인 드릴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이사 가는 집에 라돈을 측정을 했습니다. 밀폐 측정 때는 11pCi/L이 나왔고, 환기 후에는 9~7pCi/L로 내려가긴 합니다. 그래도 너무 걱정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주)베터라이프입니다.

라돈농도가 현재 기준으로 11pCi/L면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환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시길 바랍니다.
데이터 측정을 위해 라돈측정기가 있으시면 24시간 모니터링 하시고
모니터링한 데이터 화면을 캡쳐 하셔서 보내주시면 분석을 해드릴 수 있습니다.
별도로 전화 주셔도 됩니다. (1599-6886)


또한, 새벽에는 더 높을 것 같아 걱정됩니다.
최근 건축물들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밀폐율이 최고 94%까지 나옵니다.
공간이 좁을 수록 밀폐율이 높을 수록 라돈은 더욱 높게 나옵니다.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라돈아이로 방사능도 측정 가능한가요?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주)베터라이프입니다.


라돈아이는 알파선을 측정하는 측정기입니다.
방사능 중 알파선을 제외한 감마선 베타선은 측정이 불가능 합니다.


감사합니다.

Q 매트리스에 라돈이 포함 되어있습니다. 숯에 관한 설명에 음이온 효과가 있다고 적혀 있는데 계속 사용해도 될까요?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베터라이프입니다.


매트리스에 숯을 첨부한 것은 매트리스 사용 시 땀으로 인해 방출되는 냄새를 잡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숯만으로 효과를 내기가 어려워 모나자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돈아이로 직접 확인 해보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화강석에서는 라돈이 다 나오는 건가요?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베터라이프입니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이 우라늄이 많이 함유된 암석이기에 라돈방출 이야기가 나오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화강암이 높지는 않습니다.
현재 문제가 되었던 화강암은 브라질에서 채취한 암석을 중국에서 가공하여 들여왔던 제품들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 화강암에서도 일부 지역제품은 라돈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확히 확인하고 싶으시면 화강암 위에 라돈아이를 두고 측정을 해봐야만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라돈수치가 높게 나오면 감마선수치도 높게 나오나요?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베터라이프입니다.


제품표면의 라돈수치가 높다면, 일단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이 모두 방출되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그 농도가 어느정도 되는지는 측정을 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라돈이 높다고 감마선이 꼭 비례적으로 높지는 않습니다.
현장에서 보면 비례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라돈수치가 새벽에 10pCi/L인데 초음파 가습기를 사용해도 될까요? 라돈이 붕괴할 때 α선이 대기 중의 에어로졸에 붙고 호흡할 때 기관지에 붙어서 α선이 DNA을 손상시킨다고 하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베터라이프입니다.



10pCi/L이면 라돈의 농도가 매우 높은 상태입니다.
겨울철에는 현재보다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라돈자핵종 문제는 실내 미세먼지를 줄이면 좀 도움이 되겠지만,
결국 라돈수치가 높은 공간에서 지금처럼 생활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현재 거주하시는 곳이 아파트시면 환기설비가 천장에 매립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환기설비로 라돈 저감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초음파 가습기 이용 시 에어로졸이 형성이 되는 것은 맞지만,
이것이 라돈자핵종을 신체로 이동시키는 연결고리가 되는지에 대한 연구자료는 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실내 미세먼지량이 증가하면 손쉽게 라돈의 자핵종이 폐로 유입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침대에서 라돈이 방출되는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지표면이나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라돈과 차이는 뭔 가요?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베터라이프입니다.

 

원래 침대에서는 라돈이 방출되지 않습니다.

침대에서 라돈이 방출되는 것은 침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나자이트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침대는 사람이 땀을 흘리기 때문에 상당한 기간사용을 하면 세균이 번식하고 냄새가 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모나자이트라는 광물을 침대커버 뒷면, 스폰지에 뿌려서 코팅을 했고 여기서 라돈이 방출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능성을 넣은 제품에서만 나오는 것 입니다.

 

반면,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것은 석고보드, 벽돌, 타일, 콘크리트에서 라돈이 방출됩니다.

미량이라도 실내밀폐율이 높으면 라돈농도가 높게 나옵니다.

라돈은 반감기가 3.82일 이기에 라돈이 농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라돈의 특성상 밀폐율이 높으면 실내라돈도 높은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Q 요즘 며칠째 집안 라돈측정중인데 전반적으로 수치가 높은 편입니다. 바닥과 벽면이 모두 대리석으로 되어있는데 라돈 방출하는 화강석 종류인지 궁금합니다.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베터라이프입니다.


모두 천연대리석 종류입니다.
실내 라돈이 높은 이유는 이 제품에서 미세하게나마 라돈이 방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라돈의 반감기가 3.82일이라 밀폐된 공간에 이 제품들이 있다면 라돈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라돈은 석고보드, 건축자재에서도 나오기 때문에 대리석만 가지고 따질 수 없습니다.


일단, 집의 라돈 수치가 높다면 최대치가 몇 시에 찍히는지
저녁 6시부터 문을 닫았을 때 어떤 패턴으로 올라가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라돈저감은 1시간 단위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분석을 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라돈 측정기로 20pCi/L나왔는데 얼마나 위험한 건가요? 라돈은 어떻게 없애야 하나요? 환기를시키라고 하는데 환기시켜도 안 낮아지면 라돈을 뿜어내는 물질을 찾아내서 제거해야 하나
A

안녕하세요
라돈저감전문기업 베터라이프입니다.



라돈농도가 15~20pCi/L고, 만약 집이 아파트라면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단독주택은 200pCi/L가 나오는 집들도 종종 있습니다.



자연환기로는 일시적으로 내려갈 수 있지만 문 닫으면 1시간 내에 기준치 초과합니다.
이정도면 강제환기설비 설치해서 모니터링해야 하며, 겨울은 이것보다 더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 2 3 4 5 6 7 8 9